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정보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얼마 부으면 얼마를 받을까

by Deep Wisdom 2025. 2. 3.
반응형

2025년 청년도약계좌, 미래를 위한 똑똑한 선택!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가 직접 알아본 2025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려고 해요. 이 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는 정말 좋은 기회인데요, 저도 이번에 신청하면서 느낀 점들을 함께 공유해 볼게요.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미래를 위한 특별한 저축 프로그램이에요. 정부에서 지원하는 이 계좌는 우리 청년들이 목돈을 모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든든한 조력자죠.


현재 금리는 연 4.5%~ 6.0% 사이로 설정되며 납입 금액은 만기 5년 기준으로 매월 최소 1,000원 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가능하고요. 

2025년부터는 월 최대 기여금을 최대 2만 4천 원에서 3만 3천 원으로 늘렸기 때문에 만기 때 받을 수 있는 총금액이 증가하는 셈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급여가 2천4백만원 이하인 청년이 월 70만원씩 총 5년 동안 납입했다면 4천2백만원을 납입하고 5천61만원을 받게 되네요. 급여가 3천6백만 원 이하라면 4천9백8십1만 원, 급여가 4천8백만 원 이하라면 4천9백5십6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총 연 9.54% 이자를 받게되는 셈이므로 5년간 꾸준히 저축해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반응형

 

 

■ 신청 자격 확인하기

먼저, 신청 자격을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제 경우엔 소득 기준을 걱정했는데, 다행히 충족되더라고요. 여러분도 본인의 소득과 가구 소득이 기준에 맞는지 꼭 체크해 보세요!

 

● 연령 조건
- 만 19~34세 청년이 대상입니다.
- 2023년 기준으로 1989년생부터 2004년생까지 해당됩니다.
- 병역 이행자의 경우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되어, 최대 만 37세까지 가입 가능합니다.

  소득 조건
- 개인소득: 연 6,0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중위소득의 180% 이하

가구원 수에 따른 월 소득 기준:
- 1인 가구: 374만 205원
- 2인 가구: 622만 1,079원
- 3인 가구: 798만 2,668원
- 4인 가구: 972만 1,735원

 


  추가 혜택 자격
- 저소득 청년을 위한 추가 이자 지원 대상: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연말정산한 사업소득 1,600만 원 이하.
- 비과세 혜택 대상: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신청 자격을 확인할 때는 본인의 연령, 개인 소득, 가구 소득을 꼼꼼히 체크해야 합니다. 특히 소득 조건은 근로 소득과 사업 소득을 모두 포함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청 기간 놓치지 말기

 

●  2025년 2월 접수시작
●  2월 3일(월) ~ 2월 14일(금)

2025년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매달 특정 기간에만 가능해요. 저는 이전에 놓친 적이 있어서 이번엔 꼭 신청하겠다고 달력에 표시해 뒀어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공지사항을 주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하기
이제 신청은 정말 쉬워졌어요. 집에서 편하게 온라인으로 할 수 있거든요. 저는 밤늦게 퇴근해서 은행 방문이 어려웠는데, 온라인 신청으로 정말 편하게 했답니다.

 



  필요 서류 준비하기
신청할 때 필요한 서류들이 있어요. 신분증은 기본이고, 소득 증빙 서류도 필요해요. 저는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준비했는데,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서류를 미리 챙겨두세요.

 

2025년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위해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소득 증빙 서류
- 근로자: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또는 최근 3개월 급여명세서
- 자영업자: 소득금액증명원
- 프리랜서: 소득확인서류


※ 소득 증빙 서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발급할 수 있습니다.

1. 홈택스 웹사이트 바로가기 클릭▶ https://hometax.go.kr   또는 모바일 앱(손택스)
 

  - 로그인 후 [민원증명] > [소득금액증명] 메뉴에서 발급 가능

 

 

 

 

손택스 앱 설치하기 클릭

 

 

 


2. 정부 24 웹사이트  http://www.gov.kr
   - '소득금액증명' 검색 후 비회원으로도 발급 가능

3. 무인민원발급기
   - 주민센터, 세무서, 병원, 마트 등에 설치된 기기에서 무료로 발급 가능

4. 세무서 방문
   - 직접 방문하여 발급 요청 가능

5. 회사 또는 세무사를 통해 발급
   -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부나 갑근세원천징수증명서의 경우 회사나 계약된 세무사를 통해 발급

주요 소득 증빙 서류로는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원, 최근 월급여명세서, 연봉계약서 등이 있습니다. 발급 시 본인 인증이 필요하며, 온라인 발급의 경우 공동인증서나 간편 인증 등을 사용합니다.

 




·   거주 확인 서류
- 주민등록초본 또는 주민등록등본

·   주의사항
- 은행에 따라 추가 서류를 요구할 수 있으므로, 선택한 은행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 소득 조건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를 수 있으니 본인의 상황에 맞는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이러한 서류들을 미리 준비해 두면 신청 과정이 더욱 원활할 것입니다. 온라인으로 신청할 경우, 해당 서류들을 스캔하거나 사진으로 찍어 디지털 형태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은행 선택하기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들이 여러 곳 있어요. 저는 평소 자주 이용하는 은행을 선택했는데, 여러분도 편한 곳으로 고르시면 돼요.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은행별 금리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금리
대부분의 은행에서 기본 금리는 4.50%입니다. 단, 일부 은행의 경우 다음과 같이 다릅니다.
- iM뱅크(구 대구은행): 4.00%
- BNK부산은행: 4.00%
- 광주은행: 3.80%

·  우대 금리
각 은행은 최대 1.00%~1.70% 의 우대 금리를 제공합니다. 주요 우대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급여 이체: 대부분 월 50만 원 이상, 36개월 이상 이체 시 0.50%~0.60% 우대
2. 카드 실적: 월평균 10만 원~20만 원 이상 사용 시 0.20%~0.50% 우대
3. 마케팅 동의: 0.10%~0.30% 우대
4. 첫 거래 고객: 0.10%~0.50% 우대
5. 자동이체: 공과금 등 월 2건 이상 시 0.20%~0.30% 우대

·   소득 우대 금리
모든 은행에서 저소득 청년(연 소득 2,400만 원 이하)에게 추가로 0.50%의 우대 금리를 제공합니다.

·   특징적인 우대 조건
- NH농협은행: 급여 실적 50개월 이상 시 0.50% 우대
- 신한은행: 첫 거래 우대로 0.40% 제공
- 우리은행: 급여 이체로 최대 1.00% 우대
- KB국민은행: 청년도약 LTE 요금제 자동이체 시 우대

각 은행의 세부 조건이 다르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는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정말 놓치기 아까운 기회예요. 저축하면서 정부 지원도 받을 수 있으니까요. 저는 이 계좌로 제 미래를 위한 첫걸음을 뗐다고 생각해요. 여러분도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청년도약계좌로 우리 모두 함께 밝은 미래를 준비해 보세요.

반응형